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Bayley 영유아발달검사- II 의결과에영향을미치는신경발달예후인자

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Bayley 영유아발달검사- II 의결과에영향을미치는신경발달예후인자

Neurodevelopmental Predictors for the Outcomes of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II in Very Low Births Weight Infants

(지상발표):
Release Date :
Min Hyuk Chae, Do-Hyun Kim, Sung-Min Cho , Hee Sup Kim
Dongguk University Ilsan Hospital Pediatrics1
채민혁, 김도현, 조성민 , 김희섭
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1

Abstract

목적: 1,500 g 미만으로 출생한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Bayley 발달 검사 II의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신경발달의 예측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. 방법 : 2006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동국대학교 일산병원에서 출생체중 1,500 g 미만으로 태어나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하여 치료 받았던 신생아 447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고, 최종적으로 206명이 본 연구에 등록되었다. 교정연령 4-8개월 및 10-18개월에 각각 1차 및 추적 Bayley 발달 검사 II (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, BSID-II)를 시행하였다. BSID-II를 통하여 정신발달지수(Mental developmental index, MDI)와 운동발달지수( Psychomotor developmental index, PDI)를 측정하였다. 연구 대상 환아들을 MDI 및 PDI 점수에 따라 정상군 및 경증/중증 발달지연군으로 분류하여 일차 및 추적 검사 시 두 군간의 임상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.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Bayley 발달 검사 II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인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. 결과 :1차 및 2차 Bayley 발달 검사의 MDI, PDI는 재태연령 및 출생체중과 유의한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. 1차 Bayley 발달 검사 중MDI에서는 중등도 이상의 기관지폐이형성증(adjusted odds ratio (OR) 2.7; 95% confidence interval (CI) 1.1-7.1; P=0.037), 3도 이상의 뇌실내출혈 (adjusted OR 7.8; 95% CI 1.8-33.6; P=0.006)이 독립적인 위험인자였고, PDI에서는 뇌실주변백질연화증(adjusted OR 3.4; 95% CI 1.4-8.2; p=0.007), 3도 이상의 뇌실내출혈(adjusted OR 13.4; 95% CI 1.6-116.4; p=0.018)이 독립적인 위험인자였다.추적 Bayley 발달 검사 중MDI에서는 출생 전 스테로이드 사용(adjusted OR 3.9; 95% CI 1.3-12.0; P=0.014), 중등도 이상의 기관지폐이형성증(adjusted OR 3.5; 95% CI 1.0-11.8; P=0.044), 뇌실주변백질연화증(adjusted OR 3.4; 95% CI 1.0-11.0; P=0.045)이 독립적인 위험인자였고, PDI에서는 뇌실주변백질연화증(adjusted OR 5.9; 95% CI 1.9-18.0; P=0.002), 동맥관개존증(adjusted OR 3.6; 95% CI 1.2-10.9; P=0.021)이 독립적인 위험인자였다. 결론: 뇌실주변백질연화증, 3도 이상의 뇌실내출혈은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각각 1차 및 추적 Bayley 발달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독립적인 신경발달지연예측인자이다.

Keywords: 발달지연, Bayley발달검사, 극소저체중출생아